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프록시란

프록시

보안상의 이유로 직접 통신할 수 없는 두 점에서 중계기로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이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함

프록시 서버 특징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 놓음

→ 응답시 응답 시간 절약 / 불필요한 외부 연결 x / 트래픽 줄여 병목현상 방지

프록시 종류

포워드 프록시(Forward)

클라이언트 호스트가 접근하고자하는 리소스 사이에 프록시 서버를 위치 시키는 것

프록시 서버는 원격요청된 리소스를 가져와서 요청자에게 응답하는 역할 수행

로컬 디스크에 데이터 저장

클라이언트 호스트들은 프록시 서버를 설정해야해서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는것을 인지 가능

 

장점

대역폭 사용 감소

접근 정책 구현 다루기 쉬움

비용 저렴

캐시 저장 - 고속 엑세스

사용 환경 제한 가능(URL 필터링) - 특정 웹 사이트 접근 제어

 

예제

기업 내부에서 외부 url에 접근할때

회사에서 자료 검색 시 포워드 프록시를 이용해서 url 접근

 

리버스 프록시(Reverse)

Web서버 쪽에 위치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최초로 받아 요청에 해당하는 web서버에 배분

 

장점

부담 분산

캐시 저장

보안

 

예제

내가 example.com에 접속할 때 example.com 접근 전에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example.com의 리소스를 가져와서 응답

 

 

참고

https://brownbears.tistory.com/191

https://engineer-mole.tistory.com/288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UDP  (0) 2023.04.10
IP 주소  (0) 2023.04.09
MAC 주소  (0) 2023.04.08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0) 2023.04.08
쿠키와 세션  (0) 2023.02.14